쿠버네티스 공부 도중 파드를 생성하는 명령어인 kubectl create 와 apply 둘 사이의 차이점이 궁금해서 알아 보았다. kubectl create 파일이름이나 정규입력을 통해 리소스를 생성한다.JSON 파일이나 YAML 파일을 사용해야한다. kubectl apply파일이름이나 정규입력을 통해 설정을 리소스에 적용한다.리소스의 이름이 반드시 명시 되어야 하고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리소스를 생성한다. apply를 쓰기위해서는 초기에 apply 나 create --save-config 를 통해 리소스를 생성해놓자. create 명령어의 경우 애노테이션의 정보를 수정하지 않기 때문에 히스토리를 관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초기 리소스 생성시 apply 나 create --save-config 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