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S/Linux 4

[Linux] SW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1. 스토리지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 종류디스크 종류인터페이스프로토콜특징HDDSATA / SASAHCI / SCSI기계식, 저렴SSDSATA / SAS / PCIeAHCI / SCSI / NVMe전자식, 빠름NVMe SSDPCIeNVMeCPU와 직접 통신, HW RAID 불가참고: NVMe의 경우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HW RAID는 지원하지 않습니다.예시: Dell PowerEdge R960 Technical Guide서버 스펙을 보면 대부분 HDD는 SATA 또는 SAS 인터페이스 사용.아래 그림은 SATA와 SAS의 물리적 차이 예시입니다. 2. RAID 종류 및 HW/SW RAID 비교기본 RAID 레벨 요약RAID설명최소 디스크속도안정성RAID 0스트라이핑2↑↑없음RAID 1미러링2↑↑↑RAID..

OS/Linux 2025.06.19

[Linux] Booting Process

시작이 반이다 라는 말이 있듯이 리눅스가 어떻게 부팅되는지도 중요할 것이다.서버가 부팅이 안되는 상황에서 부팅 프로세스를 아는 것은 문제해결에 있어 중요할 것 이다. 1. BIOS/UFEI먼저 서버의 전원버튼을 누르면 ROM에 저장돼있는 BIOS/UFEI가 실행된다.POST(Power On Self Test)를 거치고 MBR(Master Boot Record)/GPT(GUID Partition Table)를 참조하여 부트 로더를 탐색한다.1.1 MBR (Master Boot Record)부트디바이스(USB, CDROM)의 첫 섹터부트로더, 파티션테이블, 부트 시그니처로 구성되어있다. 1.2 GPT (GUID Partition Table)MBR의 단점인 손상시 복구불가, 제한적인 파티션 개수, 디스크 크기..

OS/Linux 2025.03.03

[인프라 엔지니어 관점] D-Bus(Desktop bus) 란?

리눅스에는 다양한 프로세스가 존재한다.그렇다면 리눅스에서 프로세스 간의 통신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리눅스에는 기본적으로 D-Bus 라는 데몬이 실행되고있다.  D-Bus 는 여러 프로세스의 통신을 담당하는 데몬이다.개인적으로는 프로세스 전용 API로 생각된다.  D-Bus와 교신해보도록 하자dbus-send --print-reply --system --dest=org.freedesktop.NetworkManager /org/freedesktop/NetworkManager org.freedesktop.NetworkManager.GetDevices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면 D-Bus 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목록을 응답한다.  만약 D-Bus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스간의 통신이 되지않아 상태정보나 관련 데이..

OS/Linux 2025.02.13

[ 명령어 분석 ] top

현재 인턴십중인 회사에서 받은 과제로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top 명령어의 필드, 항목을 자세히 분석해보도록 하자멘토분께서는 top의 항목을 잘 모르는 엔지니어가 많다고 하셨다. 목차top 명령어란?항목별 의미나의생각 1. top(table of process) 명령어란?실시간으로 리눅스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명령어리눅스커널에 의해 관리되는 프로세스나 쓰레드의 리스트나 시스템정보를 보여준다. 2. 항목 별 의미이제 top 명령어의 각 항목 별 의미를 알아보자top – 현재시간 | 서버가동시간 | 유저 세션 수 | cpu 로드 에버리지(1분, 5분, 15분)  테스크의 수 | 가동중인 테스크 | sleep 중인 테스크 | 중지된 테스크 | 좀비프로세스 us : 유저영역에서 사용되는 CPU 비율sy : 시스템영..

OS/Linux 2024.04.19
반응형